10년 주기설 터지나? 이걸 보면 알 수 있다

10년 주기설 터지나? 이걸 보면 알 수 있다

간략한 요약

김탁 님의 영상에서는 코스피 3000선 돌파 후 시장 상황과 주요 종목에 대한 분석을 제공합니다. SK하이닉스의 시가총액 200조 돌파와 HBM(고대역폭 메모리) 시장의 공급 부족 심화 전망, 그리고 한국전력의 주가 급등 배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 SK하이닉스 재평가 및 HBM 시장의 성장 가능성
  • 한국전력 주가 급등 배경 및 향후 전망
  • 달러 약세 가능성에 대한 UBS 보고서 요약

서론

최근 코스피가 3000선을 넘어서 연일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단기적인 악재는 자연스럽게 소화되는 모습을 보입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에서는 확신이 있는 종목 위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K하이닉스 시가총액 200조 돌파와 HBM 시장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상승하여 시가총액 200조 원을 돌파했습니다. 과거 모건 스탠리의 부정적인 전망과는 달리, HBM 관련 비즈니스는 매우 순항 중이며 경쟁자 진입도 어려운 상황입니다. 단기적인 상승세는 부담스러울 수 있지만, SK하이닉스의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마이크론의 HBM 관련 언급에 따라 주가 조정이 있을 수 있지만, 단기적인 조정에 그칠 가능성이 높습니다.

메커리의 HBM 쇼티지 보고서 분석

메커리에서 발표한 HBM 쇼티지 보고서에 따르면, HBM 공급 부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신규 팹(fab) 투자 필요성, 다이 크기 증가와 TSV(실리콘 관통 전극) 수 증가, 고층 HBM의 발열 문제 등이 공급 부족의 주요 원인입니다. AI 워크로드 병목 현상이 HBM 부족의 핵심 원인이며, 기존 계약 방식으로는 투자 유인이 어렵다는 점도 지적됩니다. HBM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SK하이닉스의 실적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외국인 투자 동향 및 한국전력 급등

외국인 투자자들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식을 대량 매수하며 주가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특히 한국전력은 21%나 급등했는데, 이는 원화 강세 수혜와 유가 하락의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UBS 보고서에 따르면 달러 약세가 장기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미국의 과도한 부채, 달러의 과도한 준비 통화 비중, 재정 긴축 필요성, 장기 사이클 등을 근거로 합니다.

한국전력 주가 급등 배경 분석

한국전력은 10년 주기로 주가가 급등하는 경향이 있으며, 2000년대 중반과 2010년대 중반에 큰 폭의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현재 한국전력의 부채는 200조 원에 달하며, 이는 과거 정부의 전기 요금 인상 억제 정책 때문입니다. 최근 유가 하락, LNG 가격 하락, 원화 강세 등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면서 올해 14조 원의 이익이 예상됩니다. 여론 조사 결과 전기 요금 인상에 대한 수용 의사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는 한국전력의 재무 구조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