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세계적인 경제학자 카우식 바수의 저서 "경제학자는 어떻게 인생의 답을 찾는가"를 바탕으로 인생의 난제를 해결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방법에 대한 두 가지 핵심 인사이트를 제시합니다.
- 게임 이론적 사고를 통해 타인의 합리성을 고려하고 감정적 반응을 줄이는 방법
- 사회적 비교에서 오는 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신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방법
인생은 게임이다: 게임 이론으로 문제 해결하기
카우식 바수는 인생을 하나의 게임으로 보고, 게임 이론을 통해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방법을 강조합니다. 게임 이론은 상호 작용하는 상황에서 합리적인 행동을 분석하며, 타인의 합리성을 고려하여 자신의 행동을 결정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능력이 부족하면 잘못된 선택을 할 수 있으며, 부정적인 감정에 휩싸여 인생을 게임처럼 생각하지 못하게 됩니다. 부정적인 감정을 유발하는 사람들을 호랑이처럼 여기고, 그들을 다루는 최상의 전략을 냉정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감정을 배제하고 사실과 데이터에 근거하여 판단했던 것처럼, 일상생활에서도 감정적인 반응을 줄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해변가에는 몸매가 좋은 사람만 보인다: 비교의 함정에서 벗어나기
카우식 바수는 사회적 비교에서 오는 열등감, 수치심, 불안감은 추론 과정에서의 오류 때문에 발생하는 편견이라고 설명합니다. 사람들은 SNS에서 자신의 가장 좋은 모습만 보여주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삶과 비교하며 자신의 삶이 형편없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마이애미 해변가의 비유를 통해, 사람들이 자신의 외모에 대한 열등감 때문에 해변에 나오지 않게 되면서, 해변에는 몸매가 좋은 사람들만 남게 되는 현상을 설명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세상이 실제보다 더 아름답다는 환상을 만들어내고, 많은 사람들이 자존감 결핍으로 고통받게 만듭니다. 소셜 미디어나 남들이 보여주려는 것이 전부가 아니라는 것을 인지하고, 해변에 나오지 않는 사람까지 고려하여 평균을 생각해야 합니다. 열등감은 특정한 재능이 필수적이라고 생각하는 함정에 빠질 때 생기며, 사회에는 다양한 재능을 종합적으로 계산하여 순위를 매기는 합의된 방식이 없기 때문에 인간이 매기는 모든 순위는 불완전합니다.
인생의 답을 찾는 방법: 카우식 바수의 조언
카우식 바수는 인생을 게임 이론적으로 생각하고, 감정적인 부분보다는 사실과 데이터를 보며 객관적으로 정보를 이용하고 행동해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비교의 늪에 빠질 때는 자신이 세운 순위가 허상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실제 자신의 모습은 자신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나은 사람이라는 것을 잊지 않아야 합니다. 세상 모든 일은 자신의 책임이거나, 자신이 할 수 있는 일이 아무것도 없거나,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중력처럼 어쩔 수 없는 것에 분노하기보다는 합리적으로 선택하고 추론하여 풀리지 않던 답을 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