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식품외식산업 전망 (1일차-식품)

2025 식품외식산업 전망 (1일차-식품)

간략한 요약

본 영상은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서 주최한 "2025 식품 외식 산업 전망" 컨퍼런스의 1일차 강연 내용을 요약한 것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2025년 식품 외식 산업의 혁신, 상생, 긍정의 미래를 전망
  • 식품 산업의 트렌드 변화와 그에 따른 대응 전략 모색
  • 기후 변화, 물가 상승 등 식품 산업의 위협 요인과 극복 방안 논의
  •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따른 맞춤형 제품 개발 및 마케팅 전략 수립
  • 식품 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정부와 기업의 노력 강조

오프닝 및 행사 소개

2025 식품 외식 산업 전망 컨퍼런스가 코엑스에서 개막되었으며, 식품과 외식을 주제로 양일간 진행됩니다. 컨퍼런스에서는 학계 및 현업 전문가들이 국내외 식품 외식 산업 트렌드와 통찰력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개회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홍문표 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대한민국 식품 산업의 미래와 국제 경쟁력 강화 방안에 대한 화두를 던졌습니다. 기후 변화에 대한 위협과 농촌 경제의 어려움을 지적하며, 기술 개발과 정책 지원을 통해 식품 산업의 2차, 3차 산업으로의 발전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식품 수출을 대한민국의 식품 영토를 넓히는 개념으로 보고,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촉구했습니다.

2025 글로벌 식음료 트렌드

민텔 코리아 백종현 지사장은 2025년 글로벌 식음료 트렌드를 4가지 주제로 제시했습니다.

  1. 가장 중요한 것은 영향: 체중 감소 약물의 등장으로 식음료 업계의 판도가 변화하고 있으며, 필수 영양소 위주의 제품 개발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2. 통념에 대한 반항: 소비자들은 완벽한 음식이 아닌 재미와 즐거움을 주는 음식을 원하며, 새로운 맛과 조합에 열광합니다.
  3. 연쇄 반응: 기후 변화와 지정학적 요인으로 인한 식품 공급 위기가 심화되고 있으며, 대체 식품 개발과 가성비 높은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입니다.
  4. 하이브리드 수학: 푸드테크 기술이 필연적으로 사용될 것이며, 소비자들이 기술에 대한 이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소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푸드 트렌드 2025

서울대학교 문정훈 교수는 푸드 트렌드 2025의 부제목을 "편중화 구화 식품 시장"으로 명명하고, 특정 그룹이 특정 식품군을 소비하는 편중화 현상에 주목했습니다. 밥, 국, 빵, 생선, 샐러드 등 주요 식품 소비 트렌드를 분석하고, 간편식 시장의 변화와 편의점 식품 소비의 특징을 제시했습니다. 특히, 1인 가구 증가와 혼밥 문화 확산에 따른 식사 형태 변화와 그에 맞는 제품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데이터를 통해서 본 식품 산업의 현황과 전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김상효 실장은 데이터와 통계를 기반으로 식품 산업의 현황과 전망을 분석했습니다. 인구 감소, 고령화, 물가 상승, 환율 변동 등 식품 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 변화를 제시하고, 소비자들의 재무 상태 악화와 소비 심리 위축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습니다. 또한, 식량 자급률 제고와 가성비 높은 제품 개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수출 시장 다변화와 푸드테크 육성을 위한 정책 지원을 촉구했습니다.

대한민국 대용량 펀슈머 트렌드

GS리테일 김대종 매니저는 대용량 펀슈머 트렌드를 주도한 '전보라면' 개발 사례를 소개했습니다. 먹방, 단체 활동, 펀슈머 트렌드를 분석하고, 고객 기반 STP 마케팅 믹스 전략을 통해 상품을 개발했습니다. 또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 과정에서의 어려움과 극복 과정, 그리고 성공적인 마케팅 전략을 공유하며, 앞으로의 대용량 펀슈머 트렌드 방향성을 제시했습니다.

성공하는 상품 기획과 이커머스 판매 전략

컬리 서혜생 본부장은 이커머스 시장 현황과 식품 시장의 성장, 그리고 hmr 시장의 발전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컬리에서 상품을 기획하고 운영하는 과정과 성공 사례를 소개하며, 고객에게 가치 있는 상품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과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기술과 자연의 조화, 그리고 농업과 소비자의 연결을 통해 지속 가능한 식문화를 만들어가는 컬리의 비전을 제시했습니다.

트렌드를 주도하는 신제품 개발 전략

부루구루 박상제 대표는 트렌드를 주도하는 신제품 개발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업의 재정의, 진정한 R&D, 그리고 누구보다 세상을 빠르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며, 소비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제품을 개발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또한, 혁신적인 제품 개발 사례와 함께, 주세법 개정 등 주류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개선의 필요성을 역설했습니다.

특별대담: 셰프들의 시선, 음식의 경계를 넘다

박준우 셰프의 진행으로 김미령, 조광유, 장지수 셰프가 참여한 특별 대담에서는 음식의 경계를 넘어선 셰프들의 경험과 케이푸드의 미래에 대한 이야기가 펼쳐졌습니다. 흑백 요리사 출연 후 달라진 점, 각 분야의 2025년 트렌드, 그리고 지속 가능한 케이푸드 수출을 위한 과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며, 1일차 컨퍼런스를 마무리했습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