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6월 8일 주일오후예배 시편 96편 1~9절 선교의 궁극적 목적 (최영인 목사)

2025년 6월 8일 주일오후예배 시편 96편 1~9절 선교의 궁극적 목적 (최영인 목사)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선교의 궁극적인 목적이 예배를 회복시키는 데 있음을 강조합니다. 선교는 단순히 복음을 전파하는 것을 넘어, 예배가 없는 곳에 예배를 일으키고, 모든 민족이 하나님을 예배하는 예배자로 세워지도록 하는 사역입니다.

  • 선교의 최종 목표는 건물이 아닌 예배입니다.
  • 예배는 인간의 자발적인 감정이 아닌, 하나님께서 받으시기에 합당한 반응입니다.
  • 선교는 예배가 없는 곳에 예배를 일으키는 행위입니다.

소개

선교에 대한 일반적인 이미지는 복음을 전하는 활동, 선교사님의 헌신, 단기 선교 팀의 노력 등으로 생각되지만, 성경이 말하는 선교의 궁극적인 목적은 예배를 회복시키는 데 있습니다. 선교의 최종 목표는 건물이 아닌 예배이며, 예배가 있는 곳에서 열방에 예배자를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배 받으시기에 합당하신 하나님

예배의 본질적인 주제는 하나님을 찬양하는 것입니다. 예배는 우리가 무엇을 받기 전에 하나님께서 받으시기에 합당한 반응입니다. 중요한 것은 우리가 감동받고 은혜받는 것보다 하나님께서 감동받으시는 예배인가를 생각하는 것입니다. 시편 96편은 온 땅이 하나님을 찬양해야 하는 이유를 선포하며, 새 노래는 하나님을 향한 새로운 인식을 의미합니다.

예배가 없는 곳에 예배를 일으키는 선교

선교는 예배가 없는 곳에 예배를 일으키는 행위입니다. 말라기 1장 11절은 이방 민족 중에서도 하나님의 이름이 높여지고 예배가 드려지기를 원하시는 하나님의 열망을 보여줍니다. 선교는 단순히 복음을 전하는 차원을 넘어, 그 지역에 예배가 드려지기를 꿈꾸는 것입니다. 선교 대상자들을 구원받아야 할 사람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로 봐야 합니다. 아브라함은 우상 숭배의 땅에서 부름받아 하나님을 예배하는 자가 되었고,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배를 통해 하나님을 만났습니다.

예배 중심의 선교

바울의 선교는 예배 중심이었습니다. 그는 이방인을 그리스도 안에서 제사장 직분을 하게 하여 하나님께 재물로 드리는 것을 사역의 본질로 삼았습니다. 선교는 단순히 구령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이 예배자로 드려지는 것이 궁극적인 목적입니다. 잔 스타트는 진정한 예배자가 되지 않으면 진정한 선교사가 될 수 없다고 말하며, 선교는 예배로부터 솟아나는 강물이라고 강조합니다.

선교의 동기이자 최종 목표인 예배

계시록은 선교의 완성을 보여주는 비전으로, 열방과 온 무리가 어린 양 앞에 예배드리는 장면을 묘사합니다. 예배는 선교의 끝이며, 성경의 끝입니다. 구원받은 사람들은 예배로 나아가며, 예배는 존재 자체가 궁극적인 반응이 되는 여정입니다. 선교는 더 많은 예배자를 하나님 앞에 세우기 위한 여정이며, 우리가 드리는 공예배조차도 영원한 예배로 이어지는 과정입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