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이 영상은 한의사 트레이너가 운동 관련 질문에 답변하는 내용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뼈의 위치로 기능을 판단하지 않습니다.
- 근육 검사는 운전 면허와 같이 기준점이 낮습니다.
- 견갑골 안정화는 움직임의 기본입니다.
- 협응은 개별 근육의 정상 작동이 선행되어야 합니다.
첫 번째 질문: 오른쪽 발바닥 통증
오른쪽 발바닥 통증은 종아리, 햄스트링, 대둔근의 과사용으로 인한 후면 사슬의 기능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른쪽 고관절의 안정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고관절 안정성을 높이는 운동을 우선적으로 해야 합니다.
두 번째 질문: 암풀다운 및 자유형 시 통증
암풀다운 시 왼쪽 대원근과 상부 승모근 쪽으로 불편함과 저림은 광배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자유형 시 팔을 당길 때 힘이 빠지는 느낌은 견갑의 안정성이 부족함을 나타냅니다. 전거근 강화 동작을 해도 힘이 빠지는 것은 전거근 자체가 풀려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견갑의 안정화가 풀린 상태이며, 정확한 자세를 통해 전거근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세 번째 질문: 전거근 활성화 검사
전거근 활성화는 단순히 힘이 들어간다고 판단할 수 없습니다. 근육 검사는 운전 면허와 같이 기준점이 낮으며, 전거근의 활성화 수준은 다양합니다. 재활은 최저 수준부터 시작하며, 근육 검사는 시작점일 뿐입니다. 회원의 목표에 따라 전거근 활성화 수준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네 번째 질문: 푸시업 시 팔꿈치 위치 불균형
푸시업 시 오른쪽 팔꿈치가 가슴 쪽보다 어깨 쪽에 가깝게 위치하는 것은 견갑의 안정성이 부족하여 전거근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하고 상부 승모근으로 힘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오른쪽 어깨 과사용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견갑 안정화를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다섯 번째 질문: 70세 회원의 바벨 백 스쿼트
70세 회원에게 바벨 백 스쿼트는 위험합니다. 견착이 안 되는 상태에서 무리하게 견착을 시도하면 흉추, 견갑, 허리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습니다. 70세 회원에게는 바벨 백 스쿼트 대신 다른 운동을 시켜야 합니다.
여섯 번째 질문: 데드리프트 시 요추 굽힘
데드리프트 시 요추가 굽는 것은 고관절 굴곡 제한, 골반 움직임 제한, 전반 경사 제한을 의미합니다. 이는 고관절 굴곡, 골반 움직임, 전반 경사를 개선하는 운동을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
일곱 번째 질문: 목 디스크, 허리 디스크, 팔다리 저림
목 디스크와 허리 디스크로 인한 팔다리 저림은 근육 협응 저하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협응은 개별 근육의 정상 작동이 선행되어야 하며, 근육 검사를 통해 개별 근육의 문제를 파악해야 합니다. 협응 저하는 단관절 움직임을 정상화시키는 운동을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