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 요약
본 영상은 텍스트 기반 AI(LLM) 사용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 즉 거짓 정보 생성, 요청 불이행, 창의성 부족 등을 해결하기 위한 궁극의 프롬프트 작성법을 제시합니다. AI 작동 원리를 이해하고 프롬프트를 자유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개념과 실질적인 팁을 제공하며, 특히 창의적인 결과물을 얻기 위한 전략을 강조합니다.
- 창의성과 정확성은 양립 불가능하므로, 프롬프트를 분리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 프롬프트는 간결하고 정확한 단어로 작성하며, 시스템 프롬프트와 사용자 프롬프트를 구분해야 합니다.
- 유사한 결과물을 피하려면, 한 번에 여러 개의 결과물을 생성하도록 요청해야 합니다.
시작
본 영상에서는 텍스트 기반 AI 사용 시 흔히 겪는 문제점들, 예를 들어 AI가 거짓말을 하거나, 사용자의 요청을 제대로 이행하지 않거나, 창의적인 글쓰기를 기대하기 어렵고 늘 비슷한 내용만 반복하는 현상들을 해결하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할루시네이션 없이 사용자가 원하는 창의적인 글을 얻을 수 있는 궁극의 프롬프트 작성법을 제시합니다.
AI는 왜 거짓말을 할까?
AI가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창의적이면서도 정확한 정보를 동시에 얻고자 하는 사용자의 모순적인 요구에서 비롯됩니다. LLM은 템퍼러처, 탑P, 탑K와 같은 개념을 통해 무작위성을 조절하는데, 템퍼러처가 높을수록 창의성은 증가하지만 문장 구조가 불안정해지고 거짓말을 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따라서 하나의 프롬프트에서는 창의성 또는 정확성 중 하나만 요청해야 하며, 창의적인 글쓰기 후 팩트 체크를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팩트 체크 시에는 웹 검색 도구를 활용하고, 템퍼러처를 낮춰야 합니다.
AI가 내 말을 듣지 않는 이유
AI가 사용자의 말을 제대로 듣지 않는 이유는 템퍼러처가 높을수록 요청 사항의 일부만 수용하거나 예외 상황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창의적인 글쓰기를 위한 최적의 템퍼러처는 0.8이며, 프롬프트 자체에 템퍼러처를 명시하거나 클로드 콘솔과 같은 개발자 도구를 활용하여 설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프롬프트가 너무 길어지면 AI 성능이 저하되므로, 필요한 말만 간결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사용자가 원하는 바를 정확한 용어로 표현하고, 필요하다면 퓨샷(예시 제공)을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스템 프롬프트와 사용자 프롬프트를 분리하여 사용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AI 답변은 왜 늘 비슷할까?
AI 답변이 늘 비슷한 이유는 LLM이 확률에 기반하여 최고의 결과 하나만을 내려고 하는 특성 때문입니다. 따라서 창의적인 글을 여러 개 써야 한다면, 가이드 프롬프트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글의 구조와 논지를 극도로 창의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가이드조차 비슷하게 나오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프롬프트에 "가이드를 20개 써 줘"와 같은 문장을 추가하여 다양한 가이드를 확보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리 요약
요약하자면, 창의성과 정확성은 동시에 추구할 수 없으므로 프롬프트를 분리하여 사용해야 합니다. 프롬프트는 짧고 정확한 단어로 작성하며, 시스템 프롬프트와 사용자 프롬프트를 구분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비슷비슷한 결과물을 피하려면 한 번에 여러 개의 결과물을 생성하도록 요청해야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