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설근육학1

총설근육학1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신원범 강사가 인체의 근육과 신경의 연결, 특히 코어 근육, 얼굴 근육, 목과 어깨 근육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합니다. 척추기립근, 다열근, 복횡근과 같은 코어 근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들이 몸의 중심을 잡고 자세를 유지하는 데 필수적임을 설명합니다. 또한, 측두근, 교근, 광경근, 흉쇄유돌근, 사각근, 승모근 등 얼굴과 목 근육의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그리고 이들이 얼굴의 각도, 목의 움직임, 어깨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상세히 다룹니다. 교통사고 후 근육 손상, 스트레스와 관련된 근육 긴장, 그리고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기 치료법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도 제공합니다.

  • 코어 근육은 몸의 중심을 잡아주고 자세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 얼굴과 목 근육은 얼굴 각도, 목 움직임, 어깨 건강에 영향을 미칩니다.
  • 교통사고 후 근육 손상과 스트레스 관련 근육 긴장에 대한 이해가 중요합니다.

서론

신원범 강사는 90분 동안 인체 근육에 대한 강의를 진행하며, 특히 코어 근육과 얼굴 근육의 연결성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는 등이 굽으면 배가 나오고, 배가 나오면 등이 굽는 악순환을 지적하며, 올바른 자세와 코어 근육 강화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합니다.

코어 근육의 중요성

코어 근육은 복횡근, 골반저근, 다열근 등으로 구성되며, 몸의 중심을 잡아주고 내장기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강사는 코어 근육 강화 운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스쿼트와 같은 운동이 몸의 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합니다. 또한, 코어 근육이 약화되면 골반이 돌아가고 자세가 무너질 수 있음을 경고합니다.

얼굴 근육과 측두근, 교근

얼굴 근육, 특히 측두근과 교근은 얼굴의 형태와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측두근은 위경락과 연결되어 있으며, 측두 동맥이 지나가는 부위이므로 마사지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교근을 풀기 전에는 반드시 측두근을 먼저 풀어야 효과가 있습니다. 측두근은 추위에 민감하며, 두피와 얼굴 전체의 균형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교근은 얼굴의 교정과 형태를 잡아주는 근육이며, 안면 신경과 삼차 신경이 지나갑니다.

광경근의 이해

광경근은 매우 얇은 근육으로, 얼굴과 어깨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 근육을 풀면 얼굴과 어깨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목 주름에도 영향을 줍니다. 목 주름은 숨기기 어려운 노화의 징표이며, 광경근 관리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흉쇄유돌근(SCM)의 역할

흉쇄유돌근은 머리로 향하는 혈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얼굴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아침에 눈이 붓거나 이명, 코막힘 등의 증상이 있을 때 흉쇄유돌근을 풀어주면 도움이 됩니다. 얼굴 윗부분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는 두피를 풀고, 얼굴에서 일어나는 모든 문제는 흉쇄유돌근을 관리해야 합니다.

사각근의 중요성

사각근은 팔로 내려가는 신경과 혈관이 지나가는 중요한 부위입니다. 팔의 문제, 팔뚝살, 손 저림, 옆구리 통증 등이 있을 때 사각근을 풀어주면 효과가 있습니다. 팔이 저릴 때는 디스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팔을 들어보거나 뒤로 젖혀보는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사각근은 팔로 내려가는 증상과 목 디스크 증상, 팔의 부종 등을 해결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쇄골과 흉골의 연결

쇄골과 흉골의 연결 부위는 어깨 움직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부위가 굳으면 어깨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이 부위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경동맥과 추골동맥은 머리로 혈액을 공급하는 주요 경로이며, 목 디스크나 문제가 있을 때 쇄골 밑과 겨드랑이를 풀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견갑배신경과 능형근

견갑배신경은 능형근과 견갑거근을 지배하며, 목 디스크가 있을 경우 견갑골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목 디스크가 오래되면 어깨의 경락 불균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한의학에서는 족삼리, 태충, 합곡 등의 혈자리에 침을 놓아 전신을 조절하며, 수기 치료에서는 사각근과 상완 신경을 풀어 몸의 균형을 맞춥니다.

두판상근과 경추

두판상근은 목의 움직임과 관련이 있으며, 교통사고 시 손상되기 쉬운 근육입니다. 교통사고 후 3주 이내에는 관리를 자제하고, 의학적 조치를 먼저 받는 것이 좋습니다. 승모근을 살짝 자르면 두판상근이 보이며, 승모근은 매우 얇고 예민한 근육입니다.

전거근과 외복사근

전거근은 늑골에 붙어 있어 탄력도가 떨어지므로, 강한 자극을 주면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옆구리 살을 빼기 위해서는 전거근을 직접 자극하기보다는 등쪽의 능형근과 배의 외복사근을 통해 관리해야 합니다. 외복사근은 다리 안쪽, 엉덩이, 등쪽과 연결되어 있어 몸의 중심을 잡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승모근의 심층적 이해

승모근은 후두골부터 흉추 12번까지 이어져 있으며, 뇌신경 11번의 지배를 받습니다. 스트레스에 민감하며, 오른쪽이 굳어 있으면 간이 피곤하고, 왼쪽이 굳어 있으면 스트레스가 많은 상태입니다. 승모근을 관리할 때는 반사 부위인 종아리 승산도 함께 풀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승모근은 목의 각도와 라운드 숄더에도 영향을 미치며, 뱃살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추위에 민감하며, 경추 7번 부위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머리 무게가 앞으로 쏠리면 승모근에 과부하가 걸리므로, 목의 각도를 바르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