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에서는 수의학의 다양한 측면과 인간과의 관계를 살펴봅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수의학의 정의와 중요성
- 분자생물학의 역할
- DNA와 유전자 연구
- 실험동물의 활용과 윤리적 문제
- 반려동물의 역할과 질병
- 산업동물의 생산성 향상 기술
- 야생동물 보호의 중요성
소개
이 책은 "동물이 만드는 지구 절반의 세계"라는 제목으로, 동물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담고 있습니다. 수의학은 반려동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동물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학문이며, 최근에는 인수공통전염병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수의학(veterinary medicine)이라는 단어는 라틴어 어원에서 소(cattle)를 의미하는 단어에서 유래했습니다.
수의학의 다양한 분야
수의학은 다양한 분야와 결합하여 발전하고 있습니다. 의학, 치의학, 약학 등 여러 분야에서 동물 실험을 통해 발전하고 있으며, 로봇 기술, 생산성 향상, 수산, 사회적 공감 등 다양한 영역에서 수의학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현대 의학은 동물을 통해 발전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은 수의학에서 질병 발생 기전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DNA와 유전자
분자생물학에서 중심 이론(Central Dogma)은 DNA, RNA, 단백질 간의 관계를 설명합니다. DNA는 유전 정보를 담고 있으며, RNA는 중간 전달자 역할을 하고, 단백질은 최종 결과물입니다. DNA를 읽고, 쓰고, 자르고, 붙이는 기술은 유전자 연구에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기술은 인공지능과 결합하여 더욱 발전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유전자를 시각화하기 위해 DNA에 색깔을 입히는 방법이 사용되며, 녹색 형광 단백질(GFP)이 널리 활용됩니다.
줄기세포 연구
배아 줄기세포 연구는 세포의 전능성을 밝히는 데 기여했습니다. 줄기세포 시술은 점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으며, 세포를 이해하는 것은 질병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중요합니다. 동물들도 사람과 마찬가지로 세포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의학과에서는 동물을 실험동물, 산업동물, 야생동물 등으로 분류합니다.
실험동물
실험동물은 약 개발에 필수적입니다. 탈리도마이드 사건 이후 동물 실험의 중요성이 부각되었으며, 쥐, 토끼, 비글, 원숭이, 돼지 등 다양한 동물이 실험에 사용됩니다. 쥐는 수명이 짧고 번식력이 높아 발생학 연구에 많이 활용됩니다. 키메라 쥐는 흰색 쥐와 검은색 쥐의 세포를 섞어 만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학 연구를 진행합니다. 유전자 조작을 통해 비만 쥐를 만들어 비만 연구에 활용하기도 합니다. 코로나19 연구에서는 햄스터가 많이 희생되었으며, 실험동물의 숫자는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화장품 동물 실험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진행 중이며, 미니 장기(오가노이드)를 활용한 대체 실험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반려동물
반려동물은 사람들의 삶에 많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사회성 향상, 집중력 향상, 외로움 해소 등 다양한 효과가 있으며, 동물 매개 치료(Animal Assisted Therapy)는 소통이 필요한 사람들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입니다. 개와 고양이는 감시자 역할을 하여 집안의 환경 변화를 감지할 수 있습니다. 개의 유전자 정보 분석을 통해 다양한 질병이 밝혀졌으며, 개와 사람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유전 질환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진행성 망막 위축증(PRA)은 개와 사람 모두에게 나타나는 질병으로, 유전자 치료를 통해 시력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산업동물
산업동물은 식량 생산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시험관 아기 기술이 활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우유 생산량을 늘리고 있습니다. 2050년에는 단백질 요구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산업동물 생산 기술 개선이 필요합니다. 소의 체외 수정 과정을 통해 송아지를 생산하며, 복제 기술은 암 발생 연구 등 기초 연구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종 장기 이식은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안으로, 돼지 심장을 사람에게 이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야생동물
야생동물은 서식지 파괴와 밀렵으로 인해 멸종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북부 흰색 코뿔소는 멸종 직전이며, 코뿔소 뿔에 대한 수요가 멸종을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IUCN Red List는 멸종 위기종 목록을 제공하며, 멸종 위기종에 대한 관심과 보호 노력이 필요합니다. 서울시 야생동물 구조 센터는 야생동물 보호 활동을 하고 있으며, 동물원은 동물 보존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동물에게 선택권을 주는 동물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AZA 인증을 받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결론
수의학은 동물뿐만 아니라 사람, 환경 모두의 건강을 증진하는 데 기여합니다. 원헬스(One Health) 개념은 인간,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강조합니다. 동물의 질병 치료법은 사람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으며, 동물 세계는 사람과 더욱 깊숙이 연결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