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이제는 졸업하세요🫡

ETF, 이제는 졸업하세요🫡

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국내 상장 해외 ETF와 해외 상장 글로벌 ETF 중 어떤 것이 투자에 더 유리한지 비교 분석합니다. 수수료, 세금, 투자 금액,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맞는 투자 방식을 제시합니다.

  • 수수료는 글로벌 ETF가 저렴하지만, 환전 수수료를 고려하면 큰 차이가 없을 수 있습니다.
  • 세금은 국내 상장 ETF가 15.4% 배당 소득세, 글로벌 ETF가 22% 양도 소득세가 부과되지만, 글로벌 ETF는 25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습니다.
  • ISA 계좌나 연금저축 계좌를 활용하면 세금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투자 금액과 기간, 개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적합한 ETF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작

국내 상장 해외 ETF와 해외 상장 글로벌 ETF 중 어떤 것이 더 나은지에 대한 논쟁이 많습니다. 이 영상에서는 수수료, 세금, 투자 금액, 투자 기간 등을 고려하여 개인에게 맞는 투자 방식을 제시합니다.

1. 수수료 (S&P500 기준)

S&P 500 지수에 투자할 때, 국내 상장 ETF와 해외 상장 ETF의 수수료를 비교합니다. 해외 상장 ETF 중에서는 SPDR Portfolio S&P 500 ETF (SPLG)가 수수료가 가장 저렴합니다. 국내 상장 ETF는 총 보수 외에 기타 비용이 추가되어 총 수수료율이 더 높을 수 있으므로, 총 수수료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ACE 미국 S&P500 ETF가 국내 상장 ETF 중에서는 총 수수료율이 가장 저렴합니다. 하지만, SPLG의 수수료가 국내 상장 ETF보다 8배 정도 저렴합니다. 환전 비용을 고려하더라도 글로벌 ETF의 수수료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2. 세금

국내 상장 해외 ETF는 매매 차익에 대해 15.4%의 배당 소득세가 부과되는 반면, 글로벌 ETF는 양도 소득세 22%가 부과됩니다. 글로벌 ETF는 25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이 있지만, 국내 상장 ETF는 수익이 1원이라도 발생하면 세금이 부과됩니다. ISA 계좌를 통해 투자하면 200~4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 연금 계좌를 활용하면 과세 이연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연간 매매 차익과 배당 금액 합산액이 2,000만 원 이상이면 소득세율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ETF는 손익통산이 적용되지 않지만, 글로벌 ETF는 손익통산이 적용됩니다.

3. 유의사항

ISA 계좌나 연금저축 계좌를 통하지 않고 국내 상장 해외 ETF에 투자하는 것은 세금 부담이 크므로 권장하지 않습니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국내 상장 ETF와 글로벌 ETF의 세금 차이를 비교합니다. 국내 상장 ETF는 손익통산이 적용되지 않아 세금 부담이 클 수 있지만, 글로벌 ETF는 손익통산이 적용되어 세금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오늘 영상 정리

해외 ETF 투자는 수수료보다 세금을 더 중요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투자 금액이 적거나 당장 큰돈을 쓸 일이 없다면 ISA 계좌를 활용하여 비과세 혜택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결혼이나 내 집 마련을 앞두고 있다면 글로벌 ETF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국내 상장 ETF에 투자할 때는 총 보수 외에 총 수수료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S&P 500 지수 추종 ETF 중에서는 SPLG가 가장 저렴합니다. 투자 기간에 따라 적합한 ETF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