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이 비디오는 한국 사회에서 외로움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여론조사 결과, 한국인들은 중등도의 외로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지방에 혼자 사는 50대 이상 중고령층과 사회활동이 왕성한 서울의 30-40대가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외로움은 극단적인 선택이나 우울증과도 연관되어 있으며, 해외에서는 이미 외로움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이제는 외로움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인식하고 해결책을 찾아야 할 때입니다.
- 한국인의 외로움 지수는 중간 정도이며, 고령층과 30-40대가 특히 외로움을 느낌
- 외로움은 극단적 선택, 우울증과 연관
- 해외는 외로움에 적극 대처, 한국도 사회적 문제로 인식 필요
혼밥, 혼술, 그리고 외로움
혼밥과 혼술이 흔해지면서 외로움이 사회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최근 한 여론조사업체에서 국민 5천 명을 대상으로 외로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국인들은 UCLA 외로움 지수에서 평균 43.94점을 기록하며 중등도의 외로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0명 중 3명은 중고도 이상의 심각한 외로움 단계에 해당했습니다.
외로움을 느끼는 사람들
가장 외로운 사람들은 지방에 혼자 사는 50대 이상의 중고령층이었으며, 서울만 놓고 보면 사회활동이 왕성한 30-40대가 외로움을 가장 많이 느끼고 있었습니다. 이는 혼자 사는 가구의 증가와 가족의 부재 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외로움의 심각성
정부와 학계는 외로움을 자주 느끼는 사람이 극단적인 선택을 생각한 적이 있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4배 가까이 높고, 우울함을 느끼는 정도도 더 높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외로움을 느끼는 것은 하루에 담배 15개피를 피는 것과 비슷한 건강상의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해외의 외로움 대처
해외에서는 이미 외로움에 적극적으로 대처하고 있습니다. 영국은 2018년 세계 최초로 외로운 부 차관직을 신설했고, 일본은 지난해 2월 고독·고립 담당 장관을 임명했습니다. 한국 정부도 외로움 문제에 대한 정책을 준비 중이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정책이 시행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외로움, 사회 문제로의 인식 전환
이제는 개인의 문제로 치부했던 외로움을 사회 문제의 출발점으로 봐야 할 때입니다. 사회적 연결망을 강화하고 외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과 지원이 필요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