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 끝낸 부모가 공통적으로 후회하는 5가지!!(이화여고 진학 담당 황순찬 교사)

입시 끝낸 부모가 공통적으로 후회하는 5가지!!(이화여고 진학 담당 황순찬 교사)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입시 전문가 황순찬 선생님과 함께 현실적인 입시 전략과 학부모가 흔히 하는 후회, 그리고 학년별 준비법과 교사와의 소통법, 설명회 활용 팁, 자녀와의 대화법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핵심은 아이의 자기 주도성을 키우고, 입시를 아이를 알아가는 기회로 삼으며, 학교와 가정 간의 협력을 통해 아이의 성장을 돕는 것입니다.

  • 자기 주도성 키우기
  • 입시를 아이를 알아가는 기회로 활용
  • 학교와 가정의 협력 중요

주제 및 전문가 소개

교육대기자 방종임 님은 진학담당 교사 황순찬 선생님을 모시고 현실적인 입시 이야기를 나눕니다. 황순찬 선생님은 이화여자고등학교에서 진학 업무를 담당하며, 최근 "똑똑한 입시는 이 한 줄이 다릅니다"라는 책을 출간했습니다. 이 책에서 '한 줄'의 의미는 입시 정보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이를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관점을 강조합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은 입시의 수단이 되기 전에 본인을 알아갈 수 있는 기회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

똑똑한 입시는 이렇게

학생부 종합전형은 입시의 수단이 되기 전에 본인을 알아갈 수 있는 기회입니다. 과거에는 단순히 문제를 잘 푸는 것이 중요했지만, 학생부 종합전형에서는 학생의 관심사, 확장 방식, 학교생활 태도 등이 중요합니다. 이는 10대 때 이루어야 할 성취 단계로, 자신에 대해 성찰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입시 마친 부모의 후회

입시를 마친 학부모들은 선행 학습, 입시 정보, 독서, 부모 자식 관계 등 다양한 면에서 후회를 합니다. 이러한 후회들을 관통하는 핵심은 자기 주도성에 관한 후회입니다. 아이가 스스로 할 수 있는 학생이면 모든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됩니다. 유초등 시기부터 시키는 것에 익숙해진 관성이 중고등학교까지 이어지면서 아이가 스스로 성취하고 성장할 기회를 놓치게 됩니다. 교육은 아이를 억지로 시키는 것이 아니라, 아이가 어떤 아이인지 관찰하고 알아가는 과정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1~3 학년별 준비법

대입 제도에서 학생부 종합전형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고입 전에는 여러 대학들이 발간하는 학생부 종합전형 가이드를 참고하고, 선택 과목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가장 큰 오해는 특정 학과를 가려면 그와 관련된 활동만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최상위권 대학은 학과에 대한 관심보다는 학과 공부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학생을 원합니다. 1학년 때부터 특정 학과에만 맞춰 활동하기보다는, 학생부 종합전형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이 중요합니다. 입학 후에는 수업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질문을 통해 탐구의 출발점을 만드는 것이 좋습니다. 교과 내용에서 질문을 하고, 교사가 인지할 수 있도록 사고 과정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부모-교사 올바른 소통법

교사와 부모는 아이의 성장을 돕는 협력 관계입니다. 아이에 대한 관찰 내용을 서로 공유하고, 아이의 강점을 에피소드와 함께 교사에게 이야기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보는 아이의 모습과 집에서 보는 아이의 모습이 다를 수 있으므로, 서로 정보를 공유하면서 아이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교사가 추천하는 설명회 TIP

설명회는 일반론을 다룰 때가 많으므로, 아이에 대해 알고 있으면 아이에게 맞는 전략과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설명회에서 "어떻게 해야 되나요?"라고 묻기보다는, 아이의 상황과 특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질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 설명회에서는 졸업생 데이터를 확인하여, 우리 아이의 등급대와 계열에서 어떤 결과가 나왔는지 좁혀서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고교 학점제가 적용된 이후에는 선택 과목에 대한 정보를 꼼꼼히 확인하고, 2, 3학년 설명회를 미리 참고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상담 시간에는 입시 정보에 관한 질문보다는 아이에 대한 정보를 교환하고, 이상적인 시나리오를 가진 졸업생 사례를 묻는 것이 좋습니다.

자녀 입시 돕는 대화법

자녀를 이해하고 돕기 위한 대화법으로 '밀어 주기 대화'와 '알아가기 대화'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학교에서 경험하는 것에 대해 스스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질문을 던지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수업량 유연화 주간에 어떤 탐구를 선택했는지, 거기서 무엇을 기대하는지 질문하면서 아이와 정보를 교환하고 관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핵심은 아이가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게끔 하는 질문을 하는 것입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