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략한 요약
이 영상은 인생에서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하는 방법, 그리고 포기해야 할 때와 버텨야 할 때에 대한 조언을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욕심이 아닌 '원'을 세우고, 100일 동안 100번 쓰기를 통해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찾기
- 포기에 대한 죄책감을 갖지 않고, 포기를 통해 얻는 배움을 통해 나선형 학습을 하기
- 3년이라는 기간을 설정하여 몰입하고, 안 될 경우 미련 없이 포기하기
- 전략적 후퇴를 통해 동기를 재점검하고, 지속 가능한 동기를 설정하여 꾸준히 나아가기
시작
인생은 계획대로 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며, 위기는 예상보다 빨리 오고 성공은 늦게 온다는 점을 인지해야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쉽게 성공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고통을 느껴 포기하게 됩니다. 법륜 스님은 욕심을 버리고 '원'을 세우라고 조언합니다. 목표 달성 실패에 괴로움을 느낀다면 욕심이고, 그렇지 않다면 '원'입니다.
띵언 1
자신의 뜻대로 되지 않더라도 지속할 수 있는 '원'을 찾아야 합니다. 이를 위해 100일 동안 100번 쓰기를 실천하여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확인합니다. 이 과정을 통해 목표 달성을 위한 레이더가 작동하기 시작하며, 우주의 도움을 받는 것처럼 사소한 힌트도 포착할 수 있게 됩니다.
띵언 2
100일 동안 100번 쓰기를 꾸준히 하지 못한다면, 그것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이 아닐 수 있습니다. 하기 싫다면 포기해도 괜찮습니다. 포기했다는 사실에 자책하지 않고, 자신을 따뜻하게 바라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언젠가 다시 하고 싶어지는 계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100일간 100번 쓰기
초중고 교과 과정은 나선형 학습 형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하나의 주제를 깊이 파고드는 것이 아니라, 여러 주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면서 수준을 높여갑니다. 예를 들어, 초등학교에서는 원자를 작은 알갱이로 배우고, 학년이 올라갈수록 원자의 구성 요소에 대해 더 자세히 배우는 방식입니다.
나선형 학습
인생도 마찬가지로, 한 번에 모든 것을 이루려고 하기보다는 다양한 경험을 통해 배우고 성장하는 나선형 학습을 해야 합니다. 포기하더라도 괜찮습니다. 다양한 경험은 나중에 튼튼한 기반이 됩니다. 특히 20대라면 사회의 가스라이팅에 흔들리지 말고, 포기를 통해 배우는 것을 두려워하지 마세요.
포기도 양분이 된다
포기하는 습관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도 있지만, 멈추지 못해 고통받는 사람도 있습니다. 2년 동안 잠도 못 자면서 공부했지만 결과가 좋지 않아 계속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모든 경험은 자원이 된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비록 원하는 직업을 얻지 못하더라도, 그 시간 동안 얻은 근성은 다른 분야에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최대 3년은 버텨봐라
허송세월을 보내고 있다면 그만두는 선택도 고려해야 하지만, 사회적으로 납득 가능한 기준을 세워야 합니다. 신체적, 정신적으로 너무 힘들거나 금전적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면 당연히 그만둬야 합니다. 하지만 아직 버틸 만하다면 최대 3년을 목표로 몰입하고, 안 되면 미련 없이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3년을 버티는 방법
3년을 버티기 위해서는 초기 동기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전략적 후퇴를 통해 동기를 재점검해야 합니다. 첫 번째 단계는 모든 것을 멈추고 의도적으로 방황하는 것입니다. 책상에서 벗어나 객관적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시간을 가져야 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실패를 데이터로 분석하는 것입니다. 효과가 없었던 방법, 스트레스 요인, 즐거웠던 순간 등을 기록하여 오답 노트를 만듭니다. 세 번째 단계는 지속 가능한 동기로 바꾸는 것입니다. 합격이라는 결과가 아니라, 어제보다 조금 더 나아진다는 성취감에서 동기를 얻어야 합니다. 작은 목표를 세우고 달성할 때마다 스스로에게 보상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