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시황) 실적이 먼저다!!!

(주간시황) 실적이 먼저다!!!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올랜도 킴이 현재 주식 시장 상황과 다음 주 전망에 대해 논의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반도체 주식 강세 지속 및 AI 관련 하드웨어 투자 유망
  • 다음 주 CPI 데이터 발표 및 3분기 실적 발표에 주목
  •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 및 시장 변동성 요인 분석
  • 개별 종목 분석 (테슬라, 브로드컴, 팔란티어 등) 및 투자 전략 제시

주간 시황 분석

반도체 주식이 강세를 보였으며, 특히 TSMC와 ASML의 실적 발표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습니다. 이는 AI 관련 하드웨어 투자가 여전히 유망하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빅테크 기업들의 실적도 전반적으로 양호했으며, 시장 하락을 방어하는 역할을 했습니다. 반면, 금융주는 변동성이 컸습니다.

다음 주 시장 전망

다음 주에는 3분기 실적 발표가 본격화될 예정이며, CPI 데이터 발표도 예정되어 있습니다. 금융주들은 금리 인하 가능성과 인수합병 증가로 인해 예상치를 상회하는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S&P 500 지수의 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8.4%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4분기 연속 13% 이상의 증가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노동 시장 약세와 정부 폐쇄로 인한 데이터 부족으로 인해 투자자들은 기업 실적 발표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월 금리 인하 가능성

9월 CPI 지수 발표가 예정되어 있으며, 연준은 양적 완화 종료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10월 회의에서 0.25% 정도의 추가 금리 인하가 예상되지만, CPI 지수가 급등할 경우 금리 인하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팩트셋에 따르면 헤드라인 CPI는 2.9%에서 3.1%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0월 시장 불안 요소

은행 우려, 미중 무역 갈등, 전쟁 등의 요인으로 인해 시장 변동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 지난주에는 지역 은행 대차대조표 우려, 미중 무역 갈등 재발 가능성, 암호화폐 급락 조정 등이 있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P 500은 1.7% 상승했습니다. AI 투자 호황과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시장을 지지하고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 매수세와 시장 고점

개인 투자자들이 지난주 주식 시장 하락 시 열성적으로 매수한 것은 나쁜 징조일 수 있습니다. 2021년 1월 27일 이후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가장 많았습니다. 시장 하락 시 매수하는 것은 역발상 투자 전략이지만, 개인 투자자들의 과도한 매수세는 단기 고점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로버트 실러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큰 폭으로 하락한 다음 날 시장이 상승할 확률이 높습니다.

금 가격 분석

금 가격이 너무 높아 중앙은행들도 부담을 느끼고 있지만, 여전히 금 매수량이 매도량보다 많습니다. 중앙은행들은 금을 보유 자산의 핵심적인 유동성 요소로 간주하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불확실성, 변동하는 금리 전망, 미국 달러 신뢰성에 대한 의문 제기 등으로 인해 금 가격은 계속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P 500 지수 및 개별 종목 분석

S&P 500 지수는 5개월 연속 상승 후 한 달 정도 쉴 수 있습니다. 200일선과 괴리가 크기 때문에 약간의 눌림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테슬라는 400달러대를 지켜내고 있으며, 로보텍스 및 자율주행 관련 호재가 있을 경우 다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브로드컴은 박스권에 갇힐 가능성이 있으며, 325달러대에서 매수 기회를 노려볼 수 있습니다. 팔란티어는 실적 발표를 기다리고 있으며, 커머셜 부문 성장률이 중요합니다.

개별 종목 분석 (계속)

아이온큐(IQ)는 분할 매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며, 60달러대에서 1차 매수, 54달러대에서 2차 매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비트코인은 200일선이 깨지면서 하락세가 강하며, 진정되려면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이더리움은 쌍바닥 개념이 있으며, 분할 매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반도체 지수는 옆으로 눕고 있으며, 상승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별 종목 분석 (계속)

오클로는 PB 비율을 통해 과평가되어 있으며, 내려올 때 잡아야 합니다. 조비는 쌍봉 개념이 나타나고 있으며, 12~13달러대에서 분할 매수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로켓 랩은 200일선과 정배열되어 있으며, 회사의 매출과 이익 증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라클은 박스권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으며, 기간 조정이 필요합니다.

개별 종목 분석 (계속)

셀레스티카는 200일선과 정배열되어 있으며, 매출과 이익 증가 이유를 알아야 합니다. 크리오는 밸류에이션이 높을 때는 익절하고 내려올 때 사야 합니다. 내비우스는 단기적으로 꺾였으며, 반등 시 익절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템퍼스 AI는 100달러대를 강하게 돌파해야 하며, EPS 양전환 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개별 종목 분석 (계속)

힘스는 CEO가 지분을 현금화했지만, 사전 계획에 의한 것이므로 매수 관점에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제타는 18달러대에서 지지를 받고 있지만, 20달러대를 강하게 돌파해야 합니다. 파가는 25달러대가 지켜지는지 확인해야 하며, 밸류에이션은 저평가되어 있지만 모멘텀은 좋지 않습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