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고령친화우수식품 EP.01] 맛있게 먹고 건강도 챙기는 백세시대 추천템은?|MBN 230116 방송

[맛있는 고령친화우수식품 EP.01] 맛있게 먹고 건강도 챙기는 백세시대 추천템은?|MBN 230116 방송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자들이 건강하게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돕는 고령 친화 식품에 대해 소개합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고령화 사회의 현황과 고령자들의 식생활 어려움
  • 해외 고령 친화 식품 사례 (일본, 독일)
  • 한국의 고령 친화 우수식품 제도 및 기준
  • 고령자의 섭취 능력 차이를 고려한 식품 연구 개발

소개

치아 건강은 오복 중 하나이며, 건강한 치아는 영양 섭취에 매우 중요합니다. 고령화 시대에 영양 가득한 음식을 맛있게 즐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고령화 사회의 현황과 문제점

전 세계적으로 고령 인구가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도 예외는 아닙니다. 한국인의 기대 수명은 82.7세로 높아지고 있으며,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나이가 들수록 씹는 것이 어려워져 삶의 질이 떨어지고, 잇몸 질환 등으로 고통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실한 치아로 인해 음식물 섭취가 제한되면 위장 장애 및 전신 건강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해외 고령 친화 식품 사례

일본은 100세 이상 인구가 9만 명 이상인 장수 국가로, 고령 친화 식품 제도가 잘 갖춰져 있습니다. 일본 개호식품 협의회에서 제정한 유니버셜 디자인 푸드(UDF)와 농림수산성에서 제정한 스마일케어 푸드가 대표적입니다. 스마일케어는 영양 보급 필요, 씹기 어려움, 삼키기 어려움 등 상태에 따라 다른 색상의 마크를 표시하여 소비자의 선택을 돕습니다. 독일은 유럽에서 가장 먼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한 국가로, 단체 급식 서비스 표준화 및 배달 식사 서비스 표준화를 통해 고령층을 위한 영양 기준을 마련했습니다. 52년 전부터 고령 친화 식품을 출시해 온 한 업체는 300종이 넘는 다양한 제품을 제공하며, 식사 유형, 음식 주재료, 영양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한국의 고령 친화 우수식품 제도

2021년 농림축산식품부와 해양수산부가 고령 친화 우수식품 발전에 앞장섰습니다. 건강기능식품으로 한정되었던 고령 친화 품목이 식품 전반으로 확대되어 고령자도 양질의 삼시세끼를 챙길 수 있게 되었습니다. 까다로운 품질 규격을 충족한 제품만이 고령 친화 우수식품으로 지정됩니다.

고령자의 섭취 능력 차이를 고려한 식품 연구 개발

식품 연구원에서는 저작 활동과 소화가 쉬운 식품들을 연구 개발하고 있습니다. 3D 저작 모사 시스템을 통해 치아의 형태와 저작 시 가해지는 힘을 분석하여 식품의 경도를 단계화하고 있습니다. 고령 친화 우수식품 지정 제도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에서 담당하며, 품질 기준, 섭취 안정성, 고령자의 요구 반영 등을 평가하여 우수식품을 지정합니다.

고령 친화 우수식품 선택 방법 및 효과

고령 친화 제품은 S마크와 함께 1단계, 2단계, 3단계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S마크를 확인하면 고령 친화 우수 식품으로 지정받은 제품임을 알 수 있습니다. 부드럽게 제조된 고기부터 가시까지 섭취 가능한 생선까지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치아 상태 때문에 포기해야 했던 음식들도 맛있게 섭취할 수 있습니다. 고령 친화 우수식품은 소비자들이 안전하고 영양가 있는 식품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돕고, 식품 시장의 건강한 선순환을 촉진합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