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일하지 마세요." 사람마다 다른 가장 똑똑해지는 시간ㅣ지식인초대석 EP.46 (김경일 교수 1부)

"오후에 일하지 마세요." 사람마다 다른 가장 똑똑해지는 시간ㅣ지식인초대석 EP.46 (김경일 교수 1부)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노력이나 의지 없이 게으름을 극복하고, 개인에게 최적화된 시간 활용법, 뇌를 100% 활용하는 하루 루틴, 꿈을 동사형으로 설정하는 중요성, 직장 내 무기력 극복, 그리고 반복적인 일상에서 재미를 찾는 방법에 대한 심리학적 조언을 제공합니다.

  • 게으름은 천성이 아닌 상황적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개인의 상황 단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사람마다 가장 똑똑해지는 시간이 다르므로, 자신에게 맞는 시간대를 파악하여 활용해야 합니다.
  • 목표를 명사가 아닌 동사로 설정하고, 미래를 추상적으로 예측하여 현재의 모습에 좌절하지 않도록 합니다.

인트로

자신에게 유리한 시간대에 지적 능력이 향상된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며, 기상 후 한 시간 반에서 두 시간 정도 되었을 때 정신 상태와 사고 능력이 가장 좋습니다. 이 시간을 활용하여 깊은 생각이나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것이 좋습니다.

구독자 인사

인지심리학자 김경일 교수가 출연하여, 많은 사람들이 겪는 어려움과 관련된 이야기를 나눕니다. 많은 사람들이 열심히 살아가지만, 자기 계발을 하지 않으면 부족함을 느끼는 현상에 대해 이야기하며, 게으름이 천성적인 것이 아니라 상황적인 문제일 수 있음을 강조합니다.

노력, 의지 없이 게으름을 완벽히 극복하는 법

게으름은 결과에 대한 자책감이며, 실제로는 행동을 유발하는 트리거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책상 앞에 가는 것, 리모컨을 짚는 것과 같은 작은 행동에도 어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한국인은 근면 성실한 뇌를 가지고 있지만, 상황 단서를 찾지 못해 게으르다고 느낄 수 있습니다. 생산적인 사람들은 자신이 언제 무엇을 잘하는지 기록하고 데이터베이스화하여 활용합니다. 책을 펼치는 것이 어렵다면, 책만 펼치는 것을 목표로 해야 합니다. 공부를 목표로 하면 부담스러워 책을 펼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행동을 세분화하여 가장 쉬운 단계부터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성실함은 타고나는 것이지만, 몰입은 상황 단서를 통해 만들어갈 수 있습니다. 특정 장소나 시간, 상황이 몰입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사람마다 다른 가장 똑똑해지는 시간

아침형 인간과 저녁형 인간은 실제로 존재하며, IQ 검사 결과에서도 차이가 나타납니다. 아침형 인간은 오전에, 저녁형 인간은 오후에 더 높은 점수를 보입니다. 저녁형 인간에게는 일찍 등교하고 출근해야 하는 한국 사회가 힘들 수 있습니다. 자신에게 아침이 몇 시인지 알아내는 것이 중요하며, 모든 학생과 선생님이 같은 시간에 등교하는 것에 대한 의문을 제기합니다. 전날 몇 시에 자서 얼마나 자야 다음 날 가장 최고의 상태인지 스스로 알아내야 합니다. 수면 부족은 이타적인 행동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충분한 수면이 중요합니다.

뇌를 100%로 활용하는 현명한 하루 루틴

자신의 말과 행동에 점수를 매겨 수면 패턴과 연관시켜 분석하면, 뇌가 활발하게 돌아가는 시간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오전에는 깊은 생각이나 결정을 해야 하는 일을 배치하고, 오후에는 익숙하고 루틴한 일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뇌가 각성되어 있는 오전에 새로운 정보나 고민해야 할 것들을 처리해야 합니다. 결정은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므로, 사소한 결정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이 지쳐 있을 때는 자동화된 일을 잘하므로, 오후에 면접을 보면 습관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꿈은 원대한데 현실은 게으른 사람들의 문제

목표를 계획이라고 착각하는 경우가 많으며, 계획은 훨씬 촘촘하게 짜야 합니다. 이번 주에 할 일을 세분화하여 시간 단위로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초반부를 잘게 썰어 계획을 세우면, 작은 성취감을 통해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A4 용지에 글을 쓰는 것보다 원고지에 글을 쓰는 것이 더 빨리 써지는 이유도 첫 페이지를 쉽게 정복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계획을 실행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성실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계획과 목표를 혼동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스마트한 사람들은 루틴을 만들어 오후에 배치하여 생산성을 높입니다.

꿈은 반드시 명사가 아니라 동사여야 하는 이유

미래를 너무 구체적으로 예상하면 현재의 모습과 맞지 않아 좌절할 수 있습니다. 미래를 추상적으로 예측하고, 목표를 명사나 숫자가 아닌 동사형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직업으로 목표를 삼으면 대안이 없을 때 힘들어지므로, 행위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사람의 적성은 동사이지 명사가 아니므로, 어떤 행위에 재능이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과거의 성공과 실패 이유를 일깨워주는 것과 같이 특화된 동사를 찾아야 합니다.

사무실만 들어가면 무기력한 사람들이 알아야 할 것

많은 사람들이 일을 재미없어하며, 회사에서 무슨 일을 하는지도 모르고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기업 문화가 중요하며, 기업들은 자사의 문화를 정확하게 알려야 합니다. 기업 문화에 대한 질문들을 공유하는 녹서를 통해 기업 문화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이혼하는 사람들처럼, 기업과 개인도 서로 맞지 않을 수 있습니다. 처음 만났을 때 질문을 통해 서로를 알아가는 것이 중요하며, 미루어 짐작하는 것은 감정을 약속하게 되어 배신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감정을 약속하지 말고 행동을 약속해야 관계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일-집-일-집..’ 같은 것을 반복해도 재밌게 하는 법

일이 즐거우면 비정상이며, 뇌는 일, 공부, 훈련, 연습을 즐겁게 인식하지 않습니다. 게임은 노동이지만 뇌가 몰입하고 있으며, 게임화시키면 뇌가 몰입하여 일을 끝낼 수 있습니다. 과거에 일이 즐거웠던 착각은 실력이 늘 때 느끼는 감정입니다. 전문가가 되면 일이 재미없어지므로, 새로운 일을 해야 합니다. 업무에서 크게 바꾸는 것을 이직이라고 하고, 살짝 바꾸는 것을 직무 변경이라고 합니다. 이직하기 전에 직무 변경을 통해 자신에게 맞는 일을 찾아야 합니다. 직무 변경을 통해 일이 새로 늘고, 성장감이 전염될 수 있습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