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리마저 시원한 걷기 좋은 계곡길 + 고(故) 정주영 회장이 만든 대한민국 3대 요정 여행 (지하철역에서 30분)

👟 소리마저 시원한 걷기 좋은 계곡길 + 고(故) 정주영 회장이 만든 대한민국 3대 요정 여행 (지하철역에서 30분)

간략한 요약

이 비디오는 북한산 계곡길 트래킹과 서울 3대 요정 중 하나였던 선운각 방문을 안내합니다. 4호선과 우이신설선을 이용하여 북한산우이역에 도착, 아름다운 계곡길을 따라 트래킹하며 월령담을 감상하고, 최종 목적지인 선운각에 도착하여 한옥 카페와 예식장으로 개방된 공간을 탐험합니다. 선운각의 역사적 배경과 건축미, 그리고 주변 경치를 소개하며 마무리합니다.

  • 북한산 계곡길 트래킹 코스 소개
  • 서울 3대 요정 중 하나였던 선운각 방문
  • 선운각의 역사와 건축, 카페 및 주변 경치 소개

소개

여행가는 동물가족 채널에서 북한산 계곡길 트래킹과 선운각 방문을 소개합니다. 4호선을 타고 한강을 건너 성신여대입구역에서 우이신설선으로 환승하여 북한산우이역으로 향합니다. 우이신설선은 2량으로 구성된 아담한 전동차로, 터널과 맞은편 열차를 볼 수 있는 재미가 있습니다.

북한산 우이역에서 우이동 만남의 광장까지

북한산우이역 2번 출구에서 나와 좌측으로 올라가 북한산 계곡길 트래킹 코스가 시작되는 지점까지 직진합니다. 이곳은 1167번과 120번 버스 종점이기도 합니다. 북한산 국립공원은 입구부터 특별한 분위기를 자아내며, 비 온 다음 날이라 녹음과 피톤치드가 더욱 풍성합니다. 우이동 만남의 광장은 북한산 둘레길과 등산 코스의 출발점 역할을 합니다. 랑랑 힐링 투어 노래비와 북한산 둘레길 1번 코스인 소나무 숲길 진입점이 있습니다.

봉안각과 우이동 계곡길 트래킹

서울시 유형문화재인 봉안각은 과거 천도교 3세 교주 손병희 선생이 독립운동과 천도교 지도자 양성을 위해 세운 수련장입니다. 북한산 국립공원 우이분소가 맞은편에 위치해 있습니다. 우이동 계곡길은 우이동 전체 면적의 80%가 북한산 국립공원에 속해 있어 도심 속 숲세권이라 할 수 있으며, 조선 시대부터 유명한 피서지였습니다. 계곡을 따라 데크길이 이어지며, 도선사나 백운대 등산로와 연결됩니다.

월령담과 선운각으로 가는 길

돌 계단을 따라 오르면 고무 매트길이 시작됩니다. 북한산 국립공원을 새긴 돌비석과 함께 우이구곡 중 제6경인 월령담이 나타납니다. 월령담은 달이 차오르는 밤에 계곡물에 비치는 달 그림자가 아름다운 곳입니다. 월령담에서 조금만 오르면 선운각을 안내하는 이정표가 나옵니다. 선운각까지 약 10~15분 거리이며, 주변 경치를 즐기며 걸을 수 있습니다.

선운각 외부 탐험

선운각은 서울에서 가장 큰 민간 한옥 중 하나로, 정주영 현대 그룹 회장이 1967년에 지었습니다. 영부인의 불공을 위한 공간으로 알려졌지만, 실제로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80년대까지 서울의 3대 요정으로 활용되며 밀실 정치의 무대가 되었습니다. 2021년, 선운각이 지어진 지 54년 만에 한옥 카페와 예식장으로 개방되었습니다. 선운각은 미스터 선샤인, 부부의 세계, 이태원 클라쓰 등 다양한 드라마 촬영지로 사용되었습니다. 2층 루프탑에서는 북한산 백운대를 볼 수 있는 포토존이 있습니다.

선운각 카페 공간

선운각 카페 내부는 깔끔하고 모던하며, 전통 공예품으로 포인트를 준 인테리어가 인상적입니다. 한국적인 소품들이 현대적인 분위기와 잘 어울립니다. 전통차, 커피, 간단한 간식 등을 판매하며, 다락방 컨셉의 2층 방이 제공됩니다. 입구 오른쪽 끝에는 한옥으로 가는 길이 있으며, 미술관이나 결혼식 버진로드 같은 느낌을 줍니다.

선운각 한옥 탐험

선운각 한옥은 눈이 닿는 곳마다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조선왕조의 마지막 기품을 올린 한옥으로 불리며, 나무와 기와에서 느껴지는 기운이 대단합니다. 과거 요리집이었음에도 고고한 정취가 느껴집니다. 작은 테이블에서 경치를 즐기며 차를 마실 수 있습니다. 다리로 연결된 반대쪽 한옥은 현재 개방되어 있지 않으며, 결혼식장으로 사용될 것으로 추측됩니다.

선운각 한옥 내부

한옥 내부는 외부와 또 다른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나무 바닥을 밟는 소리와 나무 본연의 색감, 나무 기둥의 느낌이 좋습니다. 방안 구조는 가림막 없이 시원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넓은 좌석 배치와 바깥 경치를 볼 수 있도록 배려했습니다. 복도는 신발을 신고 다닐 수 있지만, 방안은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합니다. 기역자로 구성된 반대쪽 한옥 내부도 비슷한 컨셉으로 꾸며져 있으며, 한국 본연의 정취가 느껴지는 전통 공예품들이 배치되어 있습니다.

루프탑과 마무리

2층 루프탑에서는 선운각 주변 경치를 감상할 수 있습니다. 물안개까지 더해져 주변 경치가 환상적입니다. 이곳은 북한산 백운대가 보이는 SNS 포토존입니다. 선운각 구경을 마치고 북한산우이역으로 돌아갑니다. 선운각은 다른 요정과 비교하기 어려운 독보적인 매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내려가는 길에 북한산 경치를 배경으로 라면과 김밥을 먹는 경험을 추천합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Get it on Google Play
© 2024 Su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