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관세폭탄으로 전세계 경제 대혼돈 (KBS_397회_2025.04.05.방송)

트럼프 관세폭탄으로 전세계 경제 대혼돈 (KBS_397회_2025.04.05.방송)

간략 요약

이 영상은 미국의 새로운 상호 관세 정책 발표와 그에 따른 세계 각국의 반응을 다룹니다. 특히 미얀마 강진 피해 소식과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분석, 그리고 한국, 유럽, 중국의 대응 전략을 자세히 살펴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상호 관세를 통해 미국의 경제 독립을 선언하고 무역 적자 해소를 목표로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정책이 세계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 미국의 상호 관세 정책은 세계 경제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됩니다.
  • 한국, 유럽, 중국 등 세계 각국은 미국의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미얀마 강진

지난주 미얀마 만달레이 부근에서 진도 7.7의 강진이 발생하여 도시 전체가 혼란에 빠졌습니다. 건물들이 무너지고 사원들이 파괴되었으며, 사망자는 이미 3,000명을 넘었지만 여전히 찾지 못한 실종자가 많습니다. 미얀마 군부는 국가 비상 사태를 선포하고 이례적으로 해외 원조를 요청했습니다. 태국 방콕에서도 큰 피해가 발생했으며, 건물 붕괴로 인해 건설 노동자 10명이 사망하고 많은 사람들이 매몰되었습니다.

트럼프발 관세 전쟁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 미국을 부유하게 할 비책이라며 상호 관세를 발표했습니다. 185개국에 부과된 상호 관세는 한국 25%, 일본 24% 등 우방국도 피하지 못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가한 모든 무역 장벽을 계산해 관세를 책정했다고 설명하며, 이번 발표로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약 2배 높아졌습니다. 이로 인해 세계 금융 시장은 요동쳤고, 미국 증시는 2020년 팬데믹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로 인해 물가 상승과 소비 위축이 예상된다고 우려하며, 세계 경제 침체 위험성이 높아졌다고 분석합니다.

한국, 유럽, 중국의 대응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에 대한 한국, 유럽, 중국의 대응 전략을 살펴봅니다. 한국은 미국과 FTA 협정국이지만, 25%의 상호 관세를 부과받아 FTA가 무력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유럽은 강한 반감을 표출하며 보복 조치를 준비하고 있으며, 미국산 상품뿐만 아니라 구글, 메타 등 미국의 빅테크 기업들도 견제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미국의 상호 관세 발표 하루 만에 맞불 보복 조치를 발표하며,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34%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첨단 산업에 사용되는 일곱 종의 중희토류를 미국으로 수출하는 것을 통제하는 조치를 취했습니다.

미국의 목표와 전망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은 무역 적자와 재정 적자 해소를 목표로 합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강경한 중국 견제와 보호주의, 경제 민족주의를 통해 자신의 유산을 성취하려 한다고 분석합니다. 하지만, 이 정책이 미국 경제에 부담으로 돌아올 가능성이 높으며, 세계 최대 아몬드 생산지인 캘리포니아는 중국의 보복 관세로 수십억 달러의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여러 나라에 퍼지고 있는 반미 감정도 문제로, 캐나다의 미국 여행 계획 감소로 인해 미국은 올해만 43억 달러의 손실을 볼 것으로 추정됩니다.

미래의 국가, 중국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이 장기화될 경우, 중국이 미국의 패권을 대체하는 시기가 앞당겨질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중국은 다자 기구에서 보편적 가치로 포지셔닝하며 동맹 내에 균열을 유도하고 있으며, 미국은 미래의 국가라는 브랜드에 상당한 훼손을 입고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위기

한국은 미국과 중국이 주요 수출국인 만큼,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 관세 정책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JP모건은 한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2%에서 0.9%로 하향 조정했으며, 이는 지난 25년 동안 코로나 사태와 금융위기 때를 제외하면 거의 최악의 수준입니다. 한국 국내 제조 기업의 60%가 트럼프발 관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으며, 수출 기업 중 90%가 50인 미만의 소규모 기업이기 때문에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합니다.

국제 질서의 위기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 관세 정책은 FTA를 무력화하고 1945년 이후 발전시킨 규범에 기초한 국제 질서를 무너뜨리는 행위입니다. 자유 무역 체제는 관세를 없애는 것을 기본으로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일방적으로 관세를 부과하며 자유 무역 체제의 종말을 가져왔습니다. 전문가들은 한국이 정치권이 똘똘 뭉쳐 미국과 협상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현재 부과된 관세는 상호 관세가 제도화된 것이 아니라 행정 명령으로 날려 버린 것이기 때문에 앞으로 협상 과정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Share

Summarize Anything ! Download Summ App

Download on the Apple Store
© 2024 Summ